728x90
영세 소상공인의 경영 부담을 줄이고, 유망 소상공인의 성장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2025년 소상공인 지원사업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.
※ 7개분야 23개사업 8,170억원 규모(’24년 6개분야 18개사업 7,602억원 규모)
2024년 12월 27일
중 소 벤 처 기 업 부 장 관
1. 사업개요
|
|
구분
|
사업명
|
사업 내용
|
예산
(억원) |
규모
|
대상
|
개별
사업공고 |
기업가형
소상공인 육성 |
혁신
소상공인 창업지원 |
신사업 등 유망 아이디어와 아이템 등을 기반으로 창업하려는 예비창업자를 선발하여 창업교육, 1:1 멘토링, 사업화 자금 등 지원
|
192.3
|
510명
|
예비
창업자 |
1월
|
로컬
크리에이터 육성 |
지역의 자원과 특성 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접목하여 창업하는 로컬크리에이터를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성화
|
71.8
|
230개사
|
소상공인
|
1월
|
|
글로컬 및
로컬브랜드 창출 |
골목상권 내 로컬크리에이터‧소상공인 등이 상호 간의 사업 아이템 및 지역의 인적·물적 자산을 연결하는 로컬 브랜드 구축
|
19.3
|
8개팀
|
소상공인
|
1월
|
|
강한 소상공인 성장지원
|
우수 소상공인과 혁신 역량을 보유한 창작자· 스타트업 등과의 융합으로 차별화된 제품· 서비스를 창출하는 소상공인 발굴·육성
|
210
|
220개팀
|
소상공인
|
1월
|
|
우리동네 크라우드 펀딩
|
투자·융자에 대한 리워딩(이자) 방식을 상품 쿠폰, 할인권 등으로 다양화하고, 펀딩에 필요한 비용(기획·홍보·수수료 등)을 지원
|
40
|
1,300개사
|
소상공인
|
1월
|
|
혁신
소상공인 투자연계(신규) |
소상공인 중 소기업으로 성장이 가능한 기업을 선발, 브랜딩‧마케팅‧제품 고도화 등을 집중 지원, 기업으로서의 성장을 지원
|
300
|
300개사
|
소상공인
|
1월
|
|
소상공인
성장지원 |
소상공인
컨설팅 |
전문인력을 활용한 맞춤형 컨설팅 지원으로 소상공인 및 예비창업자의 경영애로 해결 지원
|
95.8
|
6,500건
|
소상공인 및 예비
창업자 |
1월
|
소상공인
온·오프라인교육 |
소상공인, 예비창업자의 창업 및 사업 운영 과정에 필요한 기술 고도화, 경영, 마케팅 등 다양한 분야의 현장(이론・실습) 교육 제공
|
112.4
|
20,000명
|
소상공인 및 예비
창업자 |
1월
|
|
소상공인 온라인 교육 플랫폼(지식배움터)을 활용한 업종별·수준별 온라인 강의 및 전자책 서비스(전자도서관) 제공
|
50,000명
|
연중
상시 |
||||
소상공인 유통물류
지원 |
중소 유통단체의 공동사업 활성화 및
물류환경 개선 등을 지원하여 민간 중심 중소유통물류의 경쟁력 강화 |
4
|
4곳 이상
|
중소유통
물류센터 |
1월
|
|
중소유통 소상공인 경영역량 및 상품경쟁력 강화
|
3.2
|
256건
|
중소유통 소상공인
|
|||
소상공인
협업활성화 |
5인 이상 소상공인 간 협업화를 통해 공동사업 및 판로개척 등 지원
|
113
|
80개 내외
|
소상공인
5인 이상 협동조합 등 협업체 |
1월
|
|
적합업종을 영위하는 소상공인과 대기업이 업종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컨소시엄 운영 지원
|
2
|
4개내외
|
소상공인
|
1월
|
||
백년
소상공인 육성 |
오랜 경험과 노하우를 가진 우수 소상공인을 발굴하여 백년이상 존속·성장할 수 있도록
지원 및 성공모델 확산 |
4.27
|
100개 내외
|
소상공인
|
1월
|
|
소공인
특화지원 |
소공인
스마트제조지원 |
소공인의 수작업 위주 생산 공정에 자동화 기기 도입, 데이터 수집·연계를 위한 기초단계 스마트기술(IoT 센서 등) 보급 확대 지원
|
882
|
1,800개사
|
소공인
|
1월
|
소공인
클린제조 환경조성 |
소공인 작업장 내 현장진단을 통해
산업재해 예방 및 탄소중립을 위한 에너지효율화 등 환경개선 비용지원 |
84
|
1,700개사 내외
|
소공인
|
1월
|
|
소공인
판로개척 지원 |
제품 품질력과 성장잠재력을 보유한 소공인을 대상으로 국내외 판로개척 지원
|
76.5
|
290개사
|
소공인
|
1월
|
|
소공인
복합지원센터 구축·운영 |
소공인 집적지 활성화 및 지역 소공인 육성을 위해 복합지원센터 구축·운영을 통해 소공인의 혁신성장 기반 조성
|
20
|
2개소
|
지방
자치단체 |
1월
|
|
지역상권
활성화 |
동네상권
발전소 |
상권 관계자가 직접 상권의 문제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상권 비즈니스 모델을 기획·연구하도록 협업과제 추진 지원
|
10
|
10개소
|
예비상권구역 컨소시엄
|
1월
|
지역상권
활력지원 사업(신규) |
상권주체 등 지역과 민간주도로
상권 활력회복을 지원하여 상권 활성화 및 자립 역량 강화 |
20
|
2개소
|
상권 컨소시엄
|
3월
|
|
소상공인
디지털 역량강화 |
소상공인
온라인판로 지원 |
소상공인의 온라인 판로 진출을 위해
준비→실전→도약의 단계별 지원과 디지털커머스 전문기관 등 인프라 기반 지원 |
797
|
60,000개사
내외 |
소상공인
|
1월
|
브랜드
소상공인 육성(신규) |
분야별 민간 플랫폼사와 협업하여
발전 가능성이 높은 유망 소상공인을 발굴하고 소기업으로의 성장 지원 |
150
|
3,000개사
내외 |
소상공인
|
1월
|
|
소상공인
스마트상점 기술보급 |
소상공인 사업장에 경영·서비스 혁신에 적합한 스마트기술(키오스크, 서빙로봇, 경영관리 S/W 등) 도입 지원
|
325
|
11,000개사
|
소상공인
|
2월
|
|
소상공인
경영부담 완화 |
배달·택배비 지원(한시)
|
코로나19 이후, 배달·택배규모가 급증하면서 비용부담이 증가한 영세 소상공인의 경영부담 완화를 위해 한시적 배달·택배비 지원
|
2,037
|
약67.9만명
|
영세
소상공인 |
2월
|
소상공인 고용보험료 지원
|
자영업자 고용보험에 가입한 소상공인에게
보험료 일부(50~80%) 지원 |
148
|
약 4만명
|
자영업자 고용보험 가입 소상공인
|
12.30일
|
|
소상공인
재기지원 |
희망리턴
패키지 |
‘경영개선→폐업→재취업‧재창업’의 단계별 재기 프로그램 운영
|
2,450
|
8만건
내외 |
폐업(예정) 소상공인
|
1월
|
※ 사업별 세부사항(지원규모, 지원내용, 공고시기 등)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개별 공고를 반드시 참조
반응형
'정책자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 관광진흥개발기금 관광사업체 운영자금 특별융자 지원 (0) | 2024.12.31 |
---|---|
2025년 중소기업 정책자금대출 신청 안내 (2) | 2024.12.31 |
천안시 중소기업 육성자금 이자 지원사업 4분기 추가모집 (4) | 2024.10.21 |
용산구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지원계획 (0) | 2024.08.26 |
영등포구 중소기업육성기금 융자지원계획 (0) | 2024.08.2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