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조금 및 지원금(무상환)

2024년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 통합 공고

중소기업비즈파트너 2024. 1. 17. 22:34
728x90

1. 사업개요

사업목적

중소기업 수출확대 및 글로벌화를 지원하기 위해 수출바우처(마케팅),

수출컨소시엄(해외전시회 등), 해외규격인증획득 등 지원

< 2024년 중소기업 수출지원사업 현황 >

사업명 예산(억원) 지원규모 사업공고

대표사진 삭제
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
 

 

공통사항

신청자격 : 수출 및 글로벌화를 희망하는 중소기업

 

정부지원금 : 총 사업비의 5070%이내

사업별 특성에 따라 정부지원금 지원기준 및 민간부담(현금부담)

비율이 다르므로 개별 사업공고를 반드시 참조

지원제외 : 다음 부적격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

부적격 사항

·폐업중인 기업

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

개별 사업에서 규정한 신청제한또는 지원제외에 해당하는 경우

2. 사업별 지원계획

수출바우처

사업목적

내수수출중소기업의 규모별 맞춤형 해외마케팅 서비스 지원을 통해

수출액 확대 및 수출 선도기업 육성

지원규모(‘24년) : 1,118.6억원, 약 3,200개사

지원대상 및 방식

◦ 「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

수출액 규모에 따라 지원트랙을 구분하고 최대 1억원 한도 내에서

매출액 규모에 따라 보조비율(50~70%) 차등

대표사진 삭제
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
* (보조율) 직전년도 매출액 100억 미만 : 70% / 100억~300억 : 60% / 300억원 이상 : 50%

※ 지원트랙‧한도‧보조율 등의 변동 등은 향후 세부 공고에서 규정

지원내용

디자인 개발, 해외인증, 전시회, 국제운송 등 해외진출 시 필요한 마케팅

서비스를 패키지 형태(수출바우처)로 지원

- 선정기업에 수출바우처발급 기업은 바우처 한도 내에서 지원

서비스와 서비스 수행기관을 선택 소요비용 정산

 

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존재하지 않는 이미지입니다.

신청접수 : ’24. 1(1), ‘24. 4(2차 예정)

 

 

 

 

수출컨소시엄

사업목적

중소기업 간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신시장 개척 계획을 수립하고 해외

전시화수출상담회 등 참여를 통해 중소기업 수출 촉진

지원규모(‘24년) : 158.5억원, 약 1,300개사

지원대상

(주관단체) 업종별 중소기업 단체(협회, 조합) 및 민간 전문기업, 중소

기업 지원 유관기관 등

(참여기업)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

지원내용 및 조건

대표사진 삭제

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.

대중소기업동반진출

사업목적

글로벌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을 지원하기 위해 대기업공공기관의

해외 네트워크 및 인프라를 활용하여 공동 마케팅해외진출 지원

지원규모(‘24년) : 168.5억원, 약 1,060개사

지원대상

대기업중견기업공공기관 등 산업별 선도기업이 주관기업이 되어

과제를 발굴하고 사업을 신청, 과제 선정 이후 중소기업 공모선정

* 관리기관에서 주관기업을 공모·선정, 주관기업이 동반지출 참여 중소기업 공모‧선정

관리기관(대중소재단) →주관기업(대기업 등) →중소기업(대중소 동반진출지원 사이트)

지원내용

◦ 「소비재해외진출 지원(한류콘텐츠 등 연계)

- 한류 행사와 연계한 수출상담회(B2B), 제품 판촉전(B2C)을 개최

◦ 「산업재해외진출 지원(대기업 해외거점 활용)

- 대기업 해외거점을 활용하여 지역업종별 특성에 맞는 중소기업의

시장개척, 공동 수주 활동 등 지원

지원조건

총 사업비의 60~70%* 이내 정부 보조금 지원

* 주관기업이 상생협력기금 출연 시 최대 70%, 미출연시 60%

신청접수 : ’24. 1~

전자상거래수출시장진출

사업목적

중소기업의 전자상거래를 통한 온라인 수출 확대를 위해 글로벌 온라인

플랫폼 진출, 자사몰 활용 수출, 온라인 수출 물류 지원 등

지원규모(‘24년) : 408억원, 약 5,500개사

지원대상

제조업, 지식서비스업 및 통신판매업(전자상거래)을 영위하는 중소기업

및 온라인 수출 지원 전문 수행사*

* 전문수행사는 내역사업별 상세 지원자격 공고 예정

지원내용

온라인 수출 활성화

- (쇼핑몰 활용 판매) 아마존, 쇼피 등 글로벌 쇼핑 플랫폼 활용 교육,

입점 지원, 라이브커머스 활용 지원 등

- (자사몰 활용 판매) 중소기업의 해외지향형 자사 쇼핑몰 구축 지원

- (온라인 전시회) 오프라인 전시회를 온라인에도 구축하여 오프라인

전시회를 사전에 홍보하고 사후 바이어 구매문의 대응 지원

온라인 수출 공동물류 지원

- (공동물류) 중소기업 온라인 수출 물량(개별소량 배송)을 공동으로

집적배송하여 물류비용 절감

- (풀필먼트) 물류기업 및 글로벌 쇼핑몰 풀필먼트 서비스 이용료 지원

지원조건

소요경비의 60~70%(자사몰, 공동물류 지원은 최대 70%)

 

신청접수 : ’24. 2

 

해외규격인증획득지원

사업목적

중소기업 제품의 해외시장 진출에 필요한 해외인증 또는 규격 획득을

지원하여 수출 확대에 기여

지원규모(‘24년) : 153억원, 약 1,000개사

지원대상

◦ 「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으로서 직전연도 직접수출액

5천만달러 미만인 기업

지원내용

시험인증비, 공장심사비, 컨설팅비 등 인증 획득시 소요비용 지원

기업당 연간 최대 1억원 한도 내에서 소요비용의 50%~70% 지원

 

글로벌비즈니스센터(GBC)

사업목적

세계 주요 지역 내 글로벌비즈니스센터를 설치하고 현지 진출의 판로

확대 및 현지 정착을 위한 특화 프로그램 지원

지원규모(‘24년) : 178억원(14개국 22개소 운영 예정)

지원대상

현지진출 희망 중소벤처기업

지원내용 및 조건

(현지정착) 독립 사무공간*, 개방형 공유 오피스 제공 및 법률·세무·

회계 컨설팅, 시장조사 등 서비스 제공

* 입주기업 임차료 지원 : 1년차 80%, 2년차 50% 지원

(특화사업) 제품현지화, 투자유치, 유통망 입점지원 등 판로확대

신청접수 : 연중 수시 접수(2월 입주기업 모집 안내 예정)

온라인수출플랫폼(고비즈코리아)

사업목적

고비즈코리아*를 기반으로 온라인 수출 인프라를 구축하고, 온라인

마케팅 및 바이어 구매문의 대응 등 온라인 서비스 원스톱 제공

* 온라인 B2B 전시 플랫폼으로서 해외 바이어-국내 중소기업 매칭 등 지원

지원규모(‘24년) : 34억원, 약 2,000개사

지원대상

◦ 「중소기업기본법상 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

지원내용 및 조건

(고비즈코리아 입점지원) 영문 상품 페이지 제작 지원 등

(온라인 거래알선) 무역전문가를 통한 구매문의(인콰이어리) 검증대응,

계약협상 사후관리 등 지원

신청접수 : ’24. 2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