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중앙부처
|
연번
|
사업명
|
사업개요
|
지원내용
|
지원대상
|
예산 (억원)
|
사업 공고일
|
|
||||||
◇ 사업화 (35건)
|
|
||||||||||||
1
|
ㆍ예비창업 패키지
|
혁신적인 기술창업 아이디어를 보유한 예비창업자의 성공 창업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
|
①사업화자금
②창업프로그램
|
예비창업자
(공고일 기준 사업자 (개인, 법인) 등록 및 법인 설립등기를 하
지 않은 자)
|
490
|
‘25.1월
|
|
||||||
2
|
ㆍ초기창업 패키지
|
유망 초기창업기업(창업 3 년 이내)을 대상으로 사업화 자금, 창업프로그램 등을 제 공하여 기술혁신 및 성장
지원
|
① 사업화자금
②창업프로그램
|
업력 3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
|
455
|
‘25.1월
|
|
||||||
3
|
ㆍ창업도약 패키지
|
창업도약기(3~7년) 기업이 사업모델 혁신, 제품․서비스 고도화 등을 통해 데스밸 리를 극복하고 스케일업 할
수 있도록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창업지원프로그램
|
3년 초과 7년 이내
|
593
|
‘25.2~3월
|
|
||||||
4
|
ㆍ초격차 스타 트업1000+
프로젝트
|
시스템반도체, 바이오·헬스 등 10대 신산업 분야의 혁신 기술 및 글로벌 진출 역량을 보유한 유망 창업 기업을 선발하여 사업화 및
스케일업 지원
|
① 사업화 자금
②특화 프로그램
③연계지원 (기술개발, 정책 자금, 기술보증 등)
|
신산업 분야 업력 10 년 이내 창업기업
|
1,310
|
’25.2월
|
|
||||||
5
|
ㆍ민관공동 창업자발굴
육성사업
|
창업기획자, 초기전문VC 등 민간의 선별능력을 활용하여
발굴한 유망 기술창업기업
|
①시제품 제작
②해외진출, 마케팅
③후속사업화 자금
|
팁스(TIPS) R&D에 선정된 창업기업 중
업력 7년 이내 기업
|
1,133
|
’25.3월
|
|
|
|
대상으로 사업화·마케팅 자금 을 지원하고 팁스 기업, 팁스 운영사 등이 입주가능한 인
프라인 팁스타운 운영
|
|
* 신산업 분야 창업기업의 경우 업력 10년 이내
|
|
|
6
|
ㆍ통합 창업 패키지 지원
|
지역의 유망 창업 아이템·기술 을 보유한 창업기업의 사업화 지원 등을 통하여 안정적인
시장진입 및 스케일업 촉진
|
사업화 자금, 창업 프로그램, 멘토링
|
신산업 창업분야 스타트업(업력 10 년 미만)
|
50
|
‘25.2~3월
|
7
|
ㆍ창업중심 대학
|
창업지원 역량이 우수한 대학을 ‘창업중심대학’으로 지정하여 대학발 창업을 활성화하고 지역창업 허브 역할 수행하기 위한 사업 으로 대학발 창업기업 및
지역특화 창업기업 지원
|
사업화자금, 민간 연계, 투자유치, 글로벌 진출 등 역량 강화 프로 그램 지원
|
예비창업자 및 창업기업
|
775
|
’25.2~3월
|
8
|
ㆍ창업성공 패키지 (청년창업 사관학교)
|
유망 창업아이템 및 혁신 기술을 보유한 청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공간, 교육· 코칭, 사업화자금 등 창업全 단계 패키지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창업 교육·코칭
③창업공간
➃기술지원
⑤연계지원
|
만 39세 이하, 창업 3년 이내 기업
|
826
|
‘25.1월
|
9
|
ㆍ재도전성공 패키지
|
우수한 아이템을 보유한 (예 비)재창업자 발굴, 재창업교 육, 멘토링, 사업화 지원 등 패키지식 지원
|
① 사업화 자금
②재창업 교육 및 멘토링 등
③재창업자를 위한
패키지 지원
|
예비재창업자 및 업력 7년 이내 재창업자 (기업)
|
166
|
’25.1월
|
10
|
ㆍ신사업창업 사관학교
|
창의·혁신적 아이디어 등을 보유한 예비 소상공인을 대상 으로 창업 준비 수준 등을 고 려한 맞춤형 창업지원을 통해 소상공인 창업을 활성화
|
신사업 등 유망 아 이디어와 아이템을 보유한 예비창업자를 선발하여 창업교육, 점포경영체험, 사업 화 자금을 지원
|
예비창업자
|
193
|
’25.1~2월
|
11
|
ㆍ로컬
크리에이터 육성사업
|
지역의 자원과 특성 등을 기반으로 혁신적인 아이디 어를 접목하여 창업하는 로 컬크리에이터(지역가치 창업 가)를 육성하여 지역경제 활 성화 도모
|
로컬크리에이터의 비즈니스모델(BM) 구체화, 브랜딩, 마 케팅, 네트워킹 등 성장단계별 맞춤형 프로그램 제공
|
로컬크리에이터
|
72
|
’25.1~2월
|
12
|
ㆍ예술기업 성장 지원
|
예술분야 성장단계별 사업화 자금 및 투자유치 등 자원 연계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교육 및 컨설팅
③민간재원 유치 등 외부자원 연계
|
7년 이내 예술기업
|
80
|
‘25.2월
|
13
|
ㆍ스포츠산업 예비초기창업· 창업도약 지원
|
스포츠산업 초기 스타트업 육성 및 유망 스포츠 기업 성장 촉진
|
①기업지원금
②교육 및 컨설팅
③시제품 제작
➃네트워킹
|
예비창업자,
7년 미만 창업기업
|
92
|
’24.2~3월
|
14
|
ㆍ스포츠산업 창 업중기(엑셀러 레이팅) 지원
|
전문창업기획자인 액셀러레 이터를 통한 유망 스포츠기업의 투자유치 역량강화 및 초기·후속 투자 지원
|
①기업지원금
②교육 및 컨설팅
③투자 지원
➃네트워킹
|
7년 미만 창업기업 (예비창업자 제외)
|
38
|
’24.2~3월
|
15
|
ㆍ콘텐츠 아이디어 사업화 지원
|
민간 창업지원기관 연계를 통한 예비창업 생태계 조성
|
①사업화 자금
②컨설팅·멘토링
|
창업지원기관 및 콘텐츠 분야 예비 창업자(팀)/창업 1년 이내 기업
|
9
|
’25.2~3월
|
16
|
ㆍ콘텐츠 엑셀러레이터 연 계 사 업 화 지원
|
콘텐츠 분야 민간 액셀러레이 터와 스타트업 간 연계 지원을 통한 성장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컨설팅·멘토링
|
민간 콘텐츠 액셀러 레이터 및 콘텐츠 분야 초기 스타트업 (창업 3년 이하)
|
23
|
’25.2~3월
|
17
|
ㆍ콘텐츠
투자 연계 사업 화 지원
|
창업 7년 이하 도약단계의 스타트업 대상 사업화 자금 및 스케일업 프로그램 지원
(민간 투자기관 연계)
|
①사업화 자금
②컨설팅·멘토링
③후속투자유치
지원
|
콘텐츠 스타트업 (창업 7년 이하)
|
30
|
’25.1~3월
|
18
|
ㆍ선도기업 연계 동반성장 지원 (콘텐츠 오픈
이노베이션)
|
선도기업과 유망 스타트업 연계를 통한 콘텐츠 사업모델 발굴 및 동반성장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컨설팅·멘토링
|
창업 7년 이하 콘텐츠 스타트업(법인)
|
8
|
‘25.2~3월
|
19
|
ㆍ전통문화 청년 창업 육성지원 사업
|
청년들의 전통문화산업 진입지원 및 분야 간 융합 촉진
|
①사업화 자금
②교육·멘토링
③ 프로모션( 네트 워킹, 유통채널 확대, 홍보 등)
|
전통문화산업*분야 에서 창업하고자 하 는 만39세 이하 예 비창업자 및 39세 이하 3년이내 창업 기업 대표자
|
32
|
‘25.1~3월
|
20
|
ㆍ관광벤처사업 공모전
|
관광분야에 특화된 맞춤형 창업 교육, 사업화, 판로개척 지원 등
|
① 사업화 자금
◯2 교육·컨설팅
◯3 협업·네트워킹 등
|
관광분야 예비창업자, 초기기업(~3년), 성장기업(3년~7년) 등
|
114
|
’25.2월
|
21
|
ㆍ에코스타트업 지원사업
|
녹색산업분야 유망 창업 아이템이 있는 예비창업자와 창업기업의 아이디어, 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창업 성장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프로그램 지원
|
①예비창업자
②창업기업
(업력 7년 이내)
③39세 이하의 예비창업자
➃39세 이하가 대표인
3년 이내의 창업기업
|
229
|
’25.1월
|
22
|
ㆍ농식품 벤처육성지원
|
농식품 분야 창업지원을 위 해 사업화 자금지원 및 투자 유치·판로개척을 위한 특화프
로그램 제공
|
사업화자금
|
농식품 분야 예비창 업자 및 창업기업
|
140
|
’25.1월
|
23
|
ㆍ농식품 기술창업 액셀러레이터 육성지원
|
농식품 분야에 전문성을 보 유하고 투자하는 액셀러레이 터 육성지원을 통해 농식품 기술창업기업의 성장과 투자
유치 활성화
|
① 액 셀 러 레 이 팅 프로그램
②투자유치 지원
|
농식품 분야 예비창 업자 및 창업기업
|
29
|
’25.3~4월
|
24
|
ㆍ농식품 기술평가지원
|
농식품 분야 우수 기술에 대한 기술평가로 벤처·창업 기업의 투자, 저리융자 등 기술금융 창출 여건 마련
지원
|
평가수수료 지원
|
농식품 분야 예비창 업자 및 창업기업
|
2
|
상시접수
|
25
|
ㆍ농식품 판로지원
|
농식품 분야 벤처·창업기 업의 판로확보 지원 및 유통채널 입점 지원
|
온· 오프라인매장 입점 지원
|
농식품 분야 창업기업
|
8
|
상시접수
|
26
|
ㆍ경북‧구미 방산혁신 클러스터 전주기 방산 창업지원
|
국방기술을 활용한 창의 적인 아이디어를 바탕으 로 성공적인 기술창업 및 사업화를 지원하기 위한 사업
|
①창업 아이템 개발 및 고도화 자금 지원
②창업교육
③국내 전시회 참가 지원 등
|
경북 소재 예비 / 초기창업기업 15 개사
|
6
|
’25.1월
|
27
|
ㆍ대전
방산혁신 클러스터 방 산 진 입 형 드론특화 창업 지원
|
드론특화 국방 신산업 분
야 창업 아이템 발굴 및 사업화 지원을 통해 창업 기업 성공률 제고 및 지 역 방산·드론 산업 경쟁력
강화에 이바지
|
①사업화 자금
②창업공간
③창업프로그램
|
본사 소재지가 대전광역시인 창업 7년 이내 기업 (공고일 기준)
|
4.2
|
’25.2월
|
28
|
ㆍ국 방 기 술 을 활용한 창업경진대회
|
국방기술을 활용한 사업 화 아이디어 공모를 통해 국방기술의 민간이전 활 성화 기반을 마련하고 국
내 창업분위기를 조성
|
①활용한 국방기술 기술이전계약시 기본기술료 면제
②사업화 멘토링, 기술지원
|
학생부(사업공고일 기준 대학(원)생) 및 일반부(예비창 업자, 스타트업, 창 업 7년 이내 중소 기업 임직원
|
2.5
|
’25.2월
|
29
|
ㆍ기창업자 경 영 개 선 자 금 지원사업
|
북한이탈주민 중 6개월 이 상 사업을 영위 중인 사업 자의 사업안정을 위한 재정
지원사업
|
①재정지원
②사후관리 (컨설팅)
|
사업자등록 6개월 이상 북한이탈주 민 개인사업자
|
6
|
’25.2~3월 ‘25.8~9월
|
30
|
ㆍ소규모
신규 창업자 지원사업
|
신규 창업자를 위한 창업교육 및 실습지원, 재정지원
|
①실습지원
②창업교육
③엑셀러레이팅
➃재정지원
⑤사후관리 (컨설팅, 교육, 멘토링, 투자 등)
|
(실습지원) 옷수선, 미용, 사회 복지 등 생활밀착형 기술 보유 예비창업자 (재정지원) 남북하나 재단 실습지원 수료자 및 아산나눔재단 아산
상회 수료자
|
1.5
|
’25.3월
‘25.8월
|
31
|
ㆍ데이터 활용 사업화 지원 (DATA-Stars)
|
데이터 활용 기반의 우수 서비스 및 비즈니스 모델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여 혁신기업으로 성장 하도록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데이터 특화프 로그램( 데이터 기술 컨설팅, 비
즈니스 멘토링 등)
|
창업 7년 이내 데이터 활용 기반 스타트업(공고일 기준)
|
10
|
’25.3월
|
32
|
ㆍ글로벌 ICT 미래 유니콘 육 성 ( I C T GROWTH)
|
글로벌 성장 잠재력이 높은 ICT 유망기업을 발굴하여 해외진출, 금융지원 연계 등 종합 지원을 통해 미래유니콘
기업으로 육성
|
① 해외진출 지원
② 금융지원 연계 (투자, 보증 등)
|
글로벌 역량을 갖춘 ICT 또는 ICT 기반 융·복합분야 중소기업
|
24
|
’25.2월
|
33
|
ㆍK-Global 액셀러레이팅
|
ICT 분야 특화 액셀러레 이터의 역량 및 국내외 네트워크 등을 활용하여, 유망 디지털 혁신기업 발굴· 육성 및 투자유치 활동 전반 지원
|
① 사업화 및 기술지원, 멘토링, 네트워킹 등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
② 액셀러레이터 ICT 전문성강화를 위한
활동 지원
|
민간창업기획자 등 (단, 대한민국 국적 자가 액셀러레이터 대표)
|
6
|
‘25.2월
|
34
|
ㆍ디지털 혁신 기업 글로벌
|
글로벌 진출 지향 디지털 혁신기업의 제품 개발·고도
|
①제품 개발·고도화
②지역 실증
|
유망 글로벌 디지털 혁신 중소‧스타트업
|
30
|
’25.2월
|
|
성장 바우처 지원
|
화 및 레퍼런스 확보를 전 문 민간기관(기업)과 연계 하여 바우처 형태로 지원
|
|
|
|
|
35
|
ㆍ유망 창업기업 투자유치 지원 사업
|
보건산업분야 창업기업에 현장 중심의 전문지원을 통 하여 국내·외 투자유치 및 기 술이전 활성화 등 성장 지원
|
투자유치 지원
|
보건산업 분야 10년 이내 창업기업
|
7.5
|
’25.3월
|
◇ 기술개발(R&D) (5건)
|
||||||
1
|
ㆍ창업성장 기술개발
|
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창업 기업 기술개발 지원으로 기술 창업 활성화 및 창업 기업 성장 촉진
|
기술개발 지원
|
업력 7년 이하이 며 전년도 매출액 20억원 미만의 창업기업
|
5,960
|
’25.4월
|
2
|
ㆍ공공기술기반 시장연계 창 업탐색지원
|
대학‧출연(연) 연구실에서 나온 기초․원천 연구성과 가 빠른 시간 내에 시장 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'Lab to Market’형 실험실 창업 교육 및 창업탐색
활동 지원
|
①아이템검증 등 창업탐색교육
②시작품제작 등 창업보육
|
대학(원)생, 박사 후연구원 · 출연 (연) 연구원 등으 로 구성된 예비창 업탐색팀
|
107
|
’25.1월
|
3
|
ㆍ실험실 특화형 창업선도대학 사업
|
대학 인사·학사제도 개편, 기술창업 전문인력 확보, 후속 R&D 지원 등을 통 해 실험실 창업에 특화된 창업선도대학 육성
|
①창업 교과목·동 아리, 학생 수당 등 지급
②BM고도화, R&BD, 실전
창업교육
|
실험실 특화형 창업 선도대학 및 교원, 대학원생, 박사후 연구원으로 구성된 혁신창업실험실
|
107
|
’25.1월
|
4
|
ㆍ딥사이언스 창업활성화
|
‘과학적 원리 탐구(R&D)’ 에 기반한 ‘기술혁신’이
|
①사업화 기획 및 창업 준비
|
대학 및 출연(연) 연구자, 엑셀러레
|
89
|
’25.1월
|
|
지원
|
‘시장혁신(창업・사업화)’ 으로 이어지도록 지원하 여 딥사이언스 분야 미래
신산업 씨앗 창출
|
②기술고도화 + 창업지원
③시장지향 R&D
+ 기업 성장지원
|
이터, 예비창업자, 창업기업 등
|
|
|
5
|
ㆍ첨단과학기술 기업 글로벌 협력 스케일 업 R&D 지원
|
첨단과학기술기업(딥사이 언스 기업 등)의 선진 해 외시장 진출을 촉진할 수 있는 기술 스케일업 및 글로벌 역량 강화 협력
프로그램 추진
|
①글로벌 역량 강화 교육 지원
②해외 기술 스 케 일 업 ( 실 증 등) 지원
|
첨단과학기술기업 창업·사업화 지원 역량 및 글로벌 시장 진출 지원 역량을 보유하고
있는 기관
|
10
|
’25.2월
|
◇ 시설·공간·보육 (10건)
|
||||||
1
|
ㆍ창업보육센터 지원사업
|
대학·연구소 등을 창업보 육센터로 지정하여 지역 내 (예비)창업자에게 사업 공간, 경영·기술 자문등 보육서비스 제공으로 창업 기업의 안정적인 성장을
지원
|
①사업공간 지원
②교육, 멘토링, 네트워킹 등 보육서비스 지원
③사업화·자금 연계 등
|
창업보육센터 입주 기업
(예비창업자 포함)
|
71
|
연중 수시
|
2
|
ㆍ지역창업특화 지원
|
(예비)창업기업에 사무공 간, 창업교육, 네트워킹 등을 지원하여 지역창업 번영·확대
|
①입주공간 지원
②교육지원, 전문가 멘토링, 네트워킹
③사업화 연계 등
|
① 1인 창조기업
② 만 40세 이상 (예비 창업자)
|
59
|
연중 수시
|
3
|
ㆍ메이커 스페이스
|
국민 누구나 창의적 아이 디어를 구현할 수 있는 공간인 메이커 스페이스 를 운영하여 시제품 제작 등 제조창업 촉진 및 메 이커 저변 확대
|
①기존 선정된 메이커 스페이스 운영 지원(‘24년 기준, 43개 내외)
②메이커 스페이 스 운영 역량을 갖춘 3개 이상 의 법인 간 연
계·협업 (컨소시
|
민간, 공공기관, 단체 등 법인 (‘25년 기준 중기 부 선정·지원 중인 메이커 스페이스 제외)
|
173
|
’25.1월
|
|
|
|
엄)으로 전문 메이커 활동 및 제조창업을 촉 진하는 프로그 램 지원
(8개팀 내외)
|
|
|
|
4
|
ㆍ창업존
|
Data, Network, AI 등 미 래 신산업 분야 스타트업 을 발굴하여 입주공간, 맞 춤형 보육프로그램 등을 제공함으로써 창업기업의 글로벌 진출 등 스케일업을
집중 지원
|
보육공간 제공(판교), 보육프로그램 운영, 인프라 시설지원 등
|
예비창업자, 창업 기업(7년 이내)
|
45
|
연중 수시
|
5
|
ㆍ창조경제혁신 센터
|
지역별 창업 허브인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스타트업 간, VC·AC 간 네트워킹, 투자설명회 등을 통한 투자연계, 대· 중견기업과의 다양한 개
방형혁신 활동 등을 지원
|
멘토링, 창업교육, 투자설명회, 지역 창업자·기업 간
네트워킹, 마케 팅·판로개척, 글 로벌 진출 등
|
예비창업자, 창업 기업(7년 이내)
|
364
|
연중 수시
|
6
|
ㆍ스타트업 파크
|
스타트업이 대기업, 대학· 연구기관, VC 등과 자유 롭게 소통·교류하며 성장 할 수 있도록 혁신창업 클러스터 조성
|
1차년도 설계비
5억원, 2차년도 이후 건축비 121 억원 (지방비는 국비 지원금 이 상 매칭)
|
광역자치단체(민간 과 컨소시엄 구성 필수)
|
101
|
미정
|
7
|
ㆍ딥테크 밸류업 프로그램
|
검증된 벤처·스타트업을 발굴 및 추천하여 대기업 수요에 기반한 매칭 후 딥테크 밸류업 특화 프로 그램 등을 통해 협업 지원
|
기술최적화 자금, 멘토링, 직간접 투자 지원, 행사‧ 네트워크, 글로벌 진출 등
|
대기업과 협력수 요가 매칭된 지역 유망 벤처·스타트업
|
70
|
연중 수시 (추천형)
|
8
|
ㆍ공간정보 창업지원사업
|
창업지원센터(인프라) 구 축, 예비・초기 창업기업 및 도약기 기업(~7년) 기업대 상 사무 공간제공 및 창업 프로그램 지원
|
①사무공간 제공
②프로그램 지원
③수요처 및 투자 네트워킹 지원
|
예비, 초기 창업기 업 및 도약기 기업 (3~7년) 대상
|
5
|
’25.2월
|
9
|
ㆍ국토교통 창업 및 기업 지원
|
4차 산업혁명 핵심기술 (D.N.A)을 접목한 국토교통 분야 신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창업 여건이 취약한 예비ㆍ초기 창업자 대상 창업 공간 및 교육ㆍ컨설팅 지원
|
①시설‧공간‧보육
②멘토링‧컨설팅· 교육
③투자유치 지원
|
국토교통분야 예 비․초기창업기업 (업력 7년 이내)
|
7.5
|
’25.3월
|
10
|
ㆍ혁신창업멤버스
|
사업장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바이오헬스분야 예 비 창업자 및 초기창업기 업을 대상으로 사무공간 제공, 비즈니스 네트워크 연계를 통하여 스타기업
발굴·육성
|
사무공간 제공, 연계프로그램 등
|
예비창업자 및 3 년 이내 초가창업 기업
|
-
|
’25.2월
|
◇ 멘토링·컨설팅·교육 (12건)
|
||||||
1
|
ㆍ청소년 비즈쿨
|
청소년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 교육 및 창업 체험 활동 지원하여 ‘융합형 창
의인재’ 양성
|
비즈쿨학교 지정· 운영, 비즈쿨 캠 프·체험교육, 기업
가정신 교육 등
|
초·중·고교생
|
61
|
‘25.3월
* 협약 포 기 기 관 발생 시
|
2
|
ㆍ스타트업 법률지원
|
신기술·신산업 벤처·스타 트업의 법률·규제 애로의 신속한 해결을 위해 창업 기업 전문 변호사가 온·오 프라인 법률자문을 지원
|
규제·자금·투자·계 약 등 9개 분야 법률상담 지원
|
‘신산업 창업분야 에 관한 규정’(중기부 고시)에 따른 27개 분야 스타트업
|
18
|
‘25.1월
|
3
|
ㆍIP디딤돌 프로그램
|
예비창업자의 우수 아이 디어를 지식재산(IP) 기반 사업아이템으로 고도화하 고, 창업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맞춤형 IP컨설팅 지원
|
창업 아이디어 단계부터 특허 컨설팅을 통해 IP 권리화 및 사업 아이템 도출
|
예비창업자
|
28
|
연중수시
|
4
|
ㆍIP나래 프로그램
|
창업기업이 지식재산(IP) 역량강화를 통해 시장경 쟁력을 확보하고 지속성 장이 가능한 기업이 되도 록 기업 맞춤형 IP기술·경 영 컨설팅 지원
|
IP기술·경영 융복합 컨설팅 집중 지원
|
창업 7년 이내 중소기업 (신산업분야 창업 10년 이내)
|
85
|
‘25년
2월, 5월 (연 2회)
|
5
|
ㆍ농식품 크라우드펀딩 활성화
|
크라우드펀딩 전·후 지원 을 통한 농식품 기업의 자금 조달 부담 최소화
|
①컨설팅 및 수수 료 비용 지원
②현장코칭 등
|
농식품 분야 예비 창업자 및 창업기 업
|
6
|
’25.2월
|
6
|
ㆍ농식품 벤처창업센터
|
농산업·식품 분야 기술을 보유한 (예비)창업자를 대 상으로 맞춤형 창업지원 을 통한 창업성공률 제고
및 일자리 창출
|
상담 및 창업지원 연계
|
농식품 분야 예비 창업자 및 창업기업
|
37
|
상시접수
|
7
|
ㆍ 학 생 창 업 팀 육성
|
창업경진대회를 통해 유망 학생창업팀을 발굴
|
창업교육 및 전문 가 멘토링, 사업 고도화 지원금 등
|
전국 초·중·고교, 대학(원) 소속 학생 및 학교 밖 청소년 & 예비 창업팀 또
는 창업 3년 이내
|
21
|
’25.2월
|
8
|
ㆍ경영컨설팅 지원사업
|
북한이탈주민 (예비)창업 자의 창업관련 기본역량 및 분야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맞춤형 1:1 컨설팅 지원
|
컨설팅 지원
|
북한이탈주민 (예비) 창업자
|
0.5
|
상시
|
9
|
ㆍ해양수산 인큐베이팅 지원 사업
|
해양수산 전문 창업기획 자(액셀러레이터)를 통해 해양수산 분야 유망 창업 기업을 발굴하고 기업 성장 단계별 맞춤형 보육 프로 그램 운영 및 사업화 자 금 지원
|
창업기획자가 예 비창업자‧ 기업에 게 지원 및 창업 기획자 자체 자 금을 선발기업에 의무적으로 투자 지원, 멘토링 등
|
해양수산 예비 창 업자 및 초기 창 업기업
|
32
|
’25.4월
|
10
|
ㆍK-Global 창업멘토링 (ICT 혁신기 업 멘토링)
|
선배 벤처기업인들의 경 험과 노하우로 창업가의 기술·경영 애로사항 등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제 시하여 ICT 창업기업 성 장 지원
|
①멘토링
②실전창업교육
③투자유치 역량 강화
➃홍보 지원
|
ICT, 4차 산업혁명 분야 예비창업자 (팀) 및 창업기업 대표자
|
10.7
|
`25.2월,
`25.7월
|
11
|
ㆍ인 허가 컨설팅 지원사업
|
보건산업분야 유망기술의 사업화를 위한 전문 인 허 가 컨설팅 지원을 통해 기 술 및 제품의 시장 진출 촉진
|
인·허가 프로세스, 인증취득 컨설팅 등
|
보건의료 분야 10 년 이내 창업기업 (기술성숙도 3~7단계)
|
8
|
’25.2월
|
12
|
ㆍ특허전략 컨설팅 지원사업
|
보건의료 연구개발의 경쟁 력 있는 지재권 확보 및 실용화 연계를 통한 연구 성과의 활용 확산 촉진 및 창업기업 기술경쟁력 강화
|
특허논문 분석, 해외출원 전략 등
|
보건의료 분야 10 년 이내 창업기업 (기술성숙도 1~2단계)
|
8
|
’25.2월
|
◇ 행사·네트워크 (9건)
|
||||||
1
|
ㆍ컴업
(COMEUP) 2025
|
K-스타트업 생태계를 전 세계에 소개하고, 글로벌 스타트업, VC, 창업관계자 등 글로벌 창업생태계와
|
국내 우수 스타트 업이 해외 유망한 VC 및 창업생태 계 관계자를 통해
|
국내·외 스타트업
|
29
|
’25.上
(미확정)
|
|
|
교류하며 협력을 강화하는 기회의 장 마련
|
투자유치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
프로그램 운영
|
|
|
|
2
|
ㆍ여성창업 액셀러레이팅
|
우수 여성창업자 발굴·육 성을 위한 ①여성창업경진 대회 개최와 사업화 지원, 글로벌 진출을 희망하는 창업기업에 ②글로벌 액셀 러레이팅 지원
|
①시상 및 상금
②투자유치 연계
③해외진출지원
|
여성 예비창업자, 7년 이내 여성창업 기업
|
8
|
’24.1월
|
3
|
ㆍ도전!
K-스타트업
|
부처 합동 창업경진대회를 개최하여, 우수한 창업 아 이템을 보유한 유망 (예 비)창업팀을 발굴·포상하여 대한민국 親창업 분위기
조성 등 창업저변을 확대
|
① 시상(대통령상, 국 무 총 리 상 , 장관상 등)
②상금
③ 창 업 지 원 사 업
후속연계
|
예비창업자 또는 3년 이내 창업기 업 대표자
|
21
|
’25.1월
|
4
|
ㆍ민관협력 오픈 이 노 베 이 션 지원
|
대기업 등(공공기관,중견 기업 포함)과 창업기업간 상생협력의 개방형 파트 너십을 유도하고 협업체
계 구축 지원
|
행사·네트워크
|
중소기업창업 지원법상 창업기업
|
130
|
’25.2월
|
5
|
ㆍ환경창업대전
|
대국민 참여형 공모를 통 하여 환경문제 해결 등 유망 창업아이템을 발굴· 지원하여 녹색산업 혁신
성장 지원
|
① 상금/시상
②멘토링
③통합부처대회 참가지원 등
|
예비창업자 및
7년 이내 창업기업
|
5
|
’25.2월
|
6
|
ㆍ대한민국 물산업 혁신창업 대전
|
전국민, 물기업이 참가하 는 대한민국 물산업 혁신 아이디어 경진대회로 창 업기업 발굴‧지원을 통해 물산업의 저변을 강화하 고 물산업 생태계 활성화
도모
|
①사업화 지원금
②멘토링, 시제품 제작
③해외진출 지원 등
|
예비창업자 및
7년 이내 창업기업
|
3
|
’25.6월
|
7
|
ㆍ농식품 창업콘테스트
|
농식품 분야 우수한 벤처 창업 기업을 발굴하고 제 품 홍보 및 투자유치 기회
를 제공하여 창업 붐 조성
|
시상 및 후속지원
|
농식품 분야 예비창 업자 및 창업기업
|
7.4
|
’25.5월
|
8
|
ㆍ원자력 혁신 창업경진대회
|
대학(원)생 및 (예비)창업 자에게 원자력/방사선 분 야 기술사업화에 적극적 인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
여, 스타트업 창업 지원
|
시상 및 상금, 창 업멘토링, TIPS 추천기회 등
|
예비창업팀 및 3 년 이내 창업기업
|
0.8
|
’25.4월
|
9
|
ㆍ해양수산 창업콘테스트
|
해양수산 과학기술 등을 활용한 해양수산분야 예 비창업자 및 창업기업의 발굴·지원으로 해양수산업 성장 기반 구축
|
해양수산분야 우 수 창업 아이템 을 선정하여 장 관상, 원장상 및 포상금 수여
|
-사업화 부문(창업 7년 이내 기업)
-아이디어 부문 일반부(전 국민)
-아이디어 부문 학생부(대학원생
이하)
|
2.5
|
’25.6월
∼7월
|
◇ 융자 (2건)
|
||||||
1
|
ㆍ창업기반지원 자금
|
기술력과 사업성은 우수하 나 자금이 부족한 창업 초 기 중소벤처기업의 창업을 활성화하고 고용 창출을
도모
|
융자 지원
|
「중소기업창업 지 원법」 제2조에 따 른 창업자, 업력 7 년 미만 중소기업
|
13,358
|
’24.12월
|
2
|
ㆍ재창업자금
|
원활한 재도전을 통한 도 전적인 창업 생태계 조성 을 위해 정직한 실패기업 인에 대하여 재창업에 필 요한 자금을 융자
|
시설자금 및 운 전자금 융자
|
예비재창업자 및 업력 7년 미만 재 창업 기업
|
2,000
|
’24.12월
|
◇ 인력 (1건)
|
||||||
1
|
ㆍ스타트업 AI 기술인력 양성 (이어드림 스쿨)
|
AI 분야 청년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및 취·창업 연계 지원
|
①IT기초· 인공지 능 초급 및 특 화 교육(기초· 심화)
②취·창업 지원
|
만 39세 이하 청년 (학력·전공 무관)
|
23
|
‘25.1월
|
◇ 글로벌 (13건)
|
||||||
1
|
ㆍ창업성공패키지 (글로벌창업 사관학교)
|
청년창업자를 대상으로 글 로벌 진출 준비, 기술교육 및 현지 진출 등 단계별 맞춤형 지원
|
①사업화 자금
②글로벌 5G 프로그램
③창업공간
➃연계지원
|
청년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등 만39세 이하 청년 창업기업
|
136
|
‘25.1월
|
2
|
ㆍ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
|
신산업분야 글로벌 선도 기업과 협업하여 창업기업 의 스케일업 및 글로벌시 장
진입기회 마련
|
①사업화 자금
②주관기관 특화 프로그램
③글로벌 기업
지원 프로그램
|
혁신기술을 보유한 업력 7년 이내 창 업기업
*일부 10년이내
|
530
|
‘25.2월
|
3
|
ㆍ스타트업 해외 전시회 지원
|
국내 스타트업 정책을 대 표하는 ‘K-STARTUP’ 브랜 드를 활용하여 국가통합관 조성하여 전시회에 참여하 는 혁신 스타트업의 브랜 드 가치 제고 및 적극 홍
보지원
|
해외전시회 부스 임차, 전시회 참 가비, 사전교육, 비즈니스 매칭 지 원 등
|
7년 이내 창업기업 중 각 전시회별 지원요건을 충족 하는 자
|
16
|
’25.2월
(미정)
|
4
|
ㆍK-스타트업 그랜드 챌린지
|
해외 우수 스타트업에 분 야별 전문 액셀러레이팅 제공 후 우수팀 선발 및
후속 지원
|
①액셀러레이팅
②비자 발급 지원
③정착지원금
|
외국 국적을 보유 한 예비창업자 및 7년 이내 창업기업
|
45
|
‘25.4월
|
5
|
ㆍ글로벌 스타트업 육성
|
해외 진출을 희망하는 창 업기업의 글로벌 진출 가
능성을 타진하고 글로벌
|
①해외 액셀러레 이팅 프로그램
②글로벌 기업과의
|
해외진출을 희망하는 7년이내 창업기업
|
99
|
‘25.3월
|
|
|
기업으로서 경쟁령 함양 유도
|
실증 지원
③해외진출자금
|
|
|
|
6
|
ㆍK-스타트업 센터 사업
|
미국, 프랑스 등 7개국에 진출할 국내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현지 액셀러레이 팅 프로그램, 입주공간 및 특화 멘토링 제공
|
①해외 액셀러레 이팅 프로그램
②특화 멘토링
③입주공간 제공
➃해외진출자금
|
국내·외 투자유치 또는 현지매출(수 출) 실적이 있는 7년이내 창업기업
|
154
|
‘25.3월
|
7
|
ㆍ글로벌 스타트업센터 (GSC) 운영
|
한국내 외국인의 기술창 업 활성화를 위해 원스톱 상담창구 운영 및 국내정 착 등 종합지원
|
①외국인 기술창업 상담창구 운영
②비자 취득 및 법인설립 지원
③사무공간 제공 및 네트워킹 프
로그램
|
외국 국적자로서 한국내 창업을 희 망하는 예비 또는 7년 이내 기술창 업기업
|
30
|
연중수시
|
8
|
ㆍ글로벌 진출 지원
|
콘텐츠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지원을 위한 현지 액 셀러레이터 프로그램 운영
및 해외마케 참가 지원
|
①컨설팅·멘토링
◯2 네트워킹
|
창업 7년 이하 콘텐츠 스타트업 (법인)
|
25
|
‘25.3~4월
|
9
|
ㆍ관광 글로벌 선도기업 육성
|
관광분야 벤처기업의 해 외 판로개척, 해외 진출 컨설팅, 투자유치 지원 등
|
①사업화 자금
◯2 멘 토 링· 컨설 팅 교육
◯3 후 속 투 자 유 치
지원
|
관광분야 혁신기 술 보유 중소기업
|
78
|
‘25.3월
|
10
|
ㆍK-Global 해외진출 지원사업 (글로벌 창업 활성화 기반 조성)
|
글로벌 시장에서의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ICT 혁신 기술 기업을 선발하여 글 로벌 비즈니스 영역 확장 및 지속적인 성장 지원
|
①경영컨설팅 (내/외부)
②PMF 컨설팅
③해외IR
➃테크매칭
⑤교육 세미나
⑥보육공간
|
해외진출 희망 ICT 융합기술 (Data, Network, AI, 5G 등) 보유 기업
|
33
|
`25.2월
|
11
|
ㆍDNA 융합 제품· 서비스 해외진출 지원사업
|
AI 등 미래 디지털 기술 보육 국내 기업의 현지 안착과 지속가능한 파트 너십 형성, 후속 사업 기 회 발굴에 적합한 조인트 벤처(JV, Joint Venture)형 해외 진출 지원
|
①현지 파트너십 발굴 지원
②신규 합작법인 설립 전문컨설 팅 및 사업개발 등 지원
③ 설 립 완 료 기 업 후속 컨설팅 및
사업개발 등 지원
|
AI 등 미래 디지 털 혁신 기술 보 유 기업으로 JV 추진을 희망하거 나 이미 추진 중 인 기업
|
10.85
|
`25.2월
|
12
|
ㆍAI· 디지털전 환 혁신기업 해외실증 지원
|
①AI·디지털전환 해외실증 프로젝트 발굴 및 ➁현지 실증을 통해 AI·디지털전 환 혁신기업의 해외진출 및 판로개척 지원
|
①해외수요-국내 공급 매칭
②해외실증
|
①Edu-Tech(교육)
②Ag-Tech(농·축산)
③디지털 헬스케어
➃디지털 제조분야 A I · 디 지 털 전 환 기술을 보유한
유망 글로벌 기업
|
16
|
’25.2월
|
13
|
ㆍ창업이민 인재양성프로 그램 (OASIS)
|
법무부, 중소벤처기업부에 서 공동으로 지정하는 ‘글 로벌창업이민센터’에서 운 영하는 표준화된 창업교육 프로그램
|
①지식재산권 소양교육,
②창업코칭 및 멘토링
③창업공간 제공
➃사업화 지원 등
|
국내 기술창업 희망 외국인
|
14
|
’25.
2~3월 (지자체 운영기관 제외)
|
반응형
'보조금 및 지원금(무상환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레전드50+ 지원사업 안내 - 1)중소기업 혁신바우처 지원사업 (0) | 2025.01.13 |
---|---|
2025년 지자체 창업지원사업 통합공고 (3) | 2025.01.03 |
2025년도 수출지원기반활용사업 참여기업 1차 모집공고(중소벤처기업부 소관 수출바우처사업) (4) | 2024.12.31 |
2025년 글로벌 강소기업 1,000+ 프로젝트 참여기업 모집공고 (0) | 2024.12.31 |
2025년 인천시 사물인터넷 측정기기 부착 지원사업 모집 공고(1차) (0) | 2024.12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