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사업개요 |
□ (사업목적) 디자인혁신유망기업이 디자인 주도로 신상품 개발을 성공 할 수 있도록 디자인 전문기업이 과제 별 제품개발을 추진함
□ (신청자격) 신청자격 기준에 따라 신제품 개발(신제품기획, 디자인개발, 시제품 제작 등)실적과 관련 전문인력을 보유한 디자인전문기업
구분 | 과제수행 신청자격 |
실적 | ∘신제품 개발(신제품 기획 및 디자인개발, 양산) 실적 3건 이상 보유 기업 (최근 3년 이내) |
인력 | (1) 산업·시장조사 및 분석 전문가, 트렌드 조사·분석 전문가, 사용자조사(고객관찰, UX 등) 전문가, 상품기획 전문가 등 (2) 디자인리서치 및 제품디자인 전문가, 제품설계 및 시제품 제작 전문가 등 ∘(1), (2) 분야 별 최소 1인 이상, 총 3인 이상 보유한 기업(대표자 포함, 외부인력 활용 가능) 또는 전문가 컨소시엄 구성 가능 |
요건 | ∘산업디자인진흥법 제9조, 동법 시행규칙 제9조에 따른 산업디자인전문회사로 신고되어 있는 기업 |
□ (수행분야) 산업분석, 사용자조사 등 신제품 기획 및 디자인 개발, 시제품 제작 등
□ (선정규모) 과제 별 수행사(디자인 전문기업) 19개사
□ (수행기간) 2022. 7월 ~ 11월 (약 4.5개월) *수행기간은 변경될 수 있음
□ (신청방법) 디자인혁신유망기업 신제품개발지원 선정과제 중 희망과제 RFP를 참고하여 신청서 및 계획서를 작성하여 제출
※ 세부 RFP는 별도 공지 예정 (6.15)
구분 | 과제분야 | 과제명 |
1 | 소비재(패션) | 보행안전을 목적으로 한 백팩 디자인 및 보행안전 가방 악세서리 |
2 | 소비재(패션) | 롱핀 수납이 가능한 핸드 트럭 대용량 롤백 |
3 | 소비재(전자) | 블루투스 통신기반 모니터링 시스템 탑재 safety 카시트 |
4 | 소비재(전자) | 자율주행 도슨트 로봇 (아동용/성인용) |
5 | 소비재(전자) | 스마트모듈 IoT기능탑재 헬멧 설계 및 개발 |
6 | 소비재(전자) | 딥러닝 기반의 보행자 선별이 가능한 적외선 정합 카메라 |
7 | 소비재(전자) | 투명디스플레이 기반 원격제어 가능 투명 전자배너 |
8 | 소비재(전자) | UV-C LED기반 탁상형 공기 정화기 |
9 | 소비재(전자) | 레트로 풍로형 탁상용 가습기 |
10 | 소비재(일반) | 다중 구조 복합 베이스 폴딩 조리도구 및 플레이트 |
11 | 소비재(일반) | 변형 프레임 기술을 활용한 공간절약형 차량용 쓰레기통 |
12 | 의료장비 | 단안 검사 기능 탑재 색파장 진단장비, 턱받이 제품디자인 |
13 | 의료장비 | 치아 색상 촬영 조명장치 |
14 | 레져/스포츠 | 디자인 요소가 적용된 전동 서프보드 |
15 | 레져/스포츠 | 워터스포츠 남성용 프리다이빙 핀 풋포켓 |
16 | 교육서비스 | 영유아 그림일기 AI심리분석 및 상담 App |
17 | 운송 | 모듈형 프론트 서스펜션 거더 포크 |
18 | 안전 | 보행자 안전확보와 시인성이 우수한 광학적 횡단보도 구현 제품 |
19 | 소재활용 | 조개껍질(패각)을 이용한 업사이클링 디자인 아트 타일 개발 |
* 과제명은 사전안내 정보로, 최종 RFP 상의 과제명과 일부 상이 할 수 있음.
2. 사업내용 |
□ (수행내용) 산업분석, 트렌드 및 사용자 조사 등을 통한 신제품 컨셉 기획과 디자인 개발·시제품 제작 등 디자인혁신유망기업 신제품개발 지원 선정과제 개발수행
ㅇ (신제품기획) 산업분석, 트렌드조사, 사용자조사 등 정보 조사에 기반한 아이디어 도출 및 핵심 컨셉 개발
ㅇ (디자인개발) 신제품기획 내용을 바탕으로 디자인(스케치 및 3D모델링)개발 및 실제 작동이 가능한 시제품 제작
수행과제 | 디자인혁신유망기업(19개사) 별 신제품개발 지원선정 과제(19개) | ||
수행내용 | 1. 신제품 기획 | (1) 산업, 기술, 사장분석 | 산업·시장 관련 선행기술 정보 수집 및 트렌드 조사 후 신제품 기획 인사이트 도출 |
(2) 사용자 조사 | 타깃 고객에 대한 관찰조사 및 인터뷰 등을 통한 핵심 니즈 발굴 | ||
(3) 컨셉 개발 | 다양한 아이디어 도출 및 유망 아이디어 활용하여 핵심 컨셉의 개발 | ||
▽ | |||
2. 디자인 개발 | (1) 디자인리서치 | 디자인 트렌드와 관련 제품 등 조사를 통해 외관 디자인 방향성 수립 | |
(2) 디자인 개발 및 3D모델링 | 디자인 스케치 및 품평을 통한 디자인 확정, CMF 적용 등 3D모델 개발 | ||
(3) 시제품제작 | 기능 구현을 위한 기구 설계 및 워킹이 가능한 시제품 제작 | ||
지급금액 | 기업 당 60,000천원 이내 (디자인전문기업 지급) ※ 지급금 사용 내역에 대한 정산 실시 예정 지급 비율(안) : 선금 70%, 잔금 30% |
||
개발기간 | 약 4.5개월 |
* 지급금액은 정부지원금 기준이며 신제품개발에 필요한 초과 비용은 디자인혁신유망기업이 부담
□ 과제별 전문수행기업 선정방법
➀ 신제품개발 지원선정 과제 RFP확인 후, 디자인 전문기업이 수행 희망
과제에 대해 신청 * 단, 최종 선정은 1개 과제에 한 함
➁ 평가위원회에서 지원대상의 신제품 개발 계획을 고려하여, 선정기준 점수 이상 고득점순으로 지원대상기업 과제별 수행사(디자인 전문기업)로 선정
3. 신청서 교부 및 접수 |
□ 신청기간 : 2022. 6 15(수) ~ 2022. 6. 24(금), 16:00까지 이메일 도착분에 한함
'보조금 및 지원금(무상환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2년 소공인 클린제조환경조성 하반기 모집 공고 (0) | 2022.06.15 |
---|---|
「2022년 경남나빌레라 사업」 참여자 모집 공고 (0) | 2022.06.10 |
2022년 인천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 사업 지원기업 모집 공고 (0) | 2022.06.08 |
2022년도 「수출두드림기업」 지정 계획 공고 (0) | 2022.06.08 |
2022년 서울 지역기업 혁신성장 바우처지원사업 안내 (0) | 2022.06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