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조금 및 지원금(무상환)

2022년 상반기 농림식품신기술(NET)인증제

정책자금의 모든 것 2022. 3. 6. 16:55
728x90
반응형

1. 신청 자격

ㅇ 농림식품신기술(NET)을 인증 받고자 하는 자(기업, 정부출연연, 대학 등)

 

2. 신청 대상 기술

ㅇ 이론으로 정립된 기술을 시작품 등으로 제작하여 시험 또는 운영(이하 “실증화시험”이라 한다)함으로써 정량적 평가지표를 확보한 개발완료기술로서 향후 2년 이내에 상용화가 가능한 기술

ㅇ 실증화시험을 통하여 정량적 평가지표를 확보한 개발완료기술로서 향후 기존 제품의 성능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기술

ㅇ 제품의 생산성이나 품질을 향후 현저하게 향상할 수 있는 공정기술

* 인증 신청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신청일 기준 이미 판매되어 매출이 발생한 경우, 신청대상에서 제외

3. 인증 기술분야

기술분야 세부 기술(인증대상 기술 정의)
대분류 중분류
(전문위 구성 기준)
1.농업 기술
(4개)
1-1 유전자원·육종 유전자원 및 종자 보존기술, 육종 기술, 종자생산·관리 기술 등
1-2 재배·생산 식량·원예·특용작물 재배 기술, 작물 병해충 및 생산 관리 기술 등
1-3 유통·관리 식량·원예·특용작물 수확 후 저장기술, 포장 등 품질유지·관리 기술, 유통 안전성 확보 기술, 검사·검역 기술 등
1-4 생명공학 농작물의 신규 기능성 발굴 및 품질·효능 개선 등 생명공학기술 등
2.축산·수의 기술
(3개)
2-1 종축·생산 동물(가축) 육종·번식 기술, 종축개량 기술, 경제 축종 선발기술, 초지·조사료, 사료 및 첨가제, 영양·생리 등 동물 사육기술 등
2-2 유통·관리 축산물 유통·품질관리, 도축·저장기술, 축산물 위생·안전 관리 기술 등
2-3 동물질병·수의약품 동물질병 예방·진단·진료·치료·검역기술, 인수공통 감염병 관리, 수의약품·공중보건 기술 등
3. 식품 기술
(3개)
3-1 식품가공·제조 식품 화학, 식품 미생물·발효, 식품 가공·공정 기술, 식품 포장·용기 및 품질유지 기술 등
3-2 기능성·영양 영양소 기능 규명 및 활용 기술, 기능성 소재 및 식품 개발 기술 등
3-3 위생·안전 식품 가공·유통단계 위해요소 검출 및 관리 등 위생·안전성 확보기술, 식자재 위생·안전 기술 등
4. 임업 기술
(2개)

* 목재 생산 가공 관련 기술 제외
4-1 임산물 재배·생산 임산물 육종·양묘 기술, 임산물 재배·생산성 향상 기술, 신규 임산자원 활용·재배 기술 등
4-2 임산물 가공·유통 임산물 수확 후 관리·저장기술, 임산물 가공기술, 임산물 효능 발굴 및 개선 기술, 품질향상 및 유지 기술 등
5. 농림식품
기반기술

(3개)
* 신기술 농업기계
제외
5-1 토목·시설·환경 농업수리·관개·배수, 토목 설계·구조·시공, 농지조성·보전기술, 농업환경·생태계 조절·관리·정화기술, 재해·기후변화 대응 기술 등
5-2 농자재 농약(화학·생물), 비료, 농작물 병리 및 보호 등 농림업 자재 기술 등
5-3 농림식품 기계·시스템 농업기계·시스템, 축산기계·시스템, 임업기계·시스템, 식품기계·시스템, 농식품 시설 설계·환경 제어 기술, 농산물 품질계측 기술 등
6. 농림식품
융복합
(3개)
6-1 농생명 신소재·시스템 바이오칩·센서, 나노·기능성 소재 개발 및 활용 등 농림축산자원의 바이오기술 적용 기술 등
6-2 농생명 에너지 자원 농림축산 에너지 자원 생산 및 활용, 관리기술 등
6-3 농생명 정보·전자 농림축산식품의 생산·유통 유비쿼터스 정보화 기술, 생물정보 응용 및 활용기술 등
대분류 6개 기술 중분류 18개 기술

*「목재제품 신기술 지정에 관한 규정」에 따른 목재 관련 기술은 산림청,「신기술 농업기계의 지정 및 관리요령에 관한 고시」에 따른 농업기계는 농진청 별도 시행

4. 신청 일정 및 제출 서류

가. 공고 및 신청서류 접수 기간

ㅇ 공고기간 : 2022. 2. 28.(월) ~ 3. 30.(수), 18:00 까지

ㅇ 접수기간 : 2022. 3. 15.(화) ~ 3. 30.(수), 18:00 까지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