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조금 및 지원금(무상환)

2022년 농식품 벤처육성 지원사업(첨단기술) 모집 안내

정책자금의 모든 것 2022. 1. 12. 22:53
728x90
반응형

사업개요

농산업ㆍ식품 분야 첨단 기술기반 벤처ㆍ창업기업을 발굴ㆍ육성을 위하여 창업사업화 자금, 전문가 연계, 창업정보 제공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.

☞ 농산업 내지 농식품 분야 5년 이내 창업기업

☞ 기업당 30백만원 지원

가점우대제도

ㅇ 기업부설연구소 인정  관련공고조회

ㅇ 이노비즈제도  관련공고조회

지원분야 및 대상

ㅇ신청자격
- 첨단기술(그린바이오 및 스마트 농업) 분야 기술 및 제품을 보유한 창업기업*의 대표자로, 
- 동 사업 접수 마감일 기준 창업 3~7년 이내 기업이어야 함
* 창업기업이란 「중소기업창업 지원법」 제2조 제1호 내지 2호에 따름
* 창업업력 판단 기준은 [참고3] ‘창업여부 및 창업업력 기준표’ 참조

지원조건 및 내용

ㅇ 지원기간 : 협약체결일 ∼ 2022년 12월말까지
* 동 사업은 별도의 평가절차를 걸쳐 최대 3년까지 지원 가능하며, 매년 정부지원금은 변경될 수 있음


ㅇ 지원분야
① 분야별 상세 : 그린바이오 분야

세부분야 관련 분야
①-1. 마이크로바이옴 종균활용 발효식품, 생물농약ㆍ비료, 프로바이오틱스
①-2. 대체식품ㆍ메디푸드 식물육, 배양육, 메디푸드, 고령친화식품
①-3. 종자 내재해성 종자, 고기능성 종자
①-4. 동물용의약품 백신, 줄기세포 치료
①-5. 기타 생명소재 건강기능식품, 사료, 화장품, 바이오디젤

* 정부「그린바이오 융합형 신(新)산업 육성방안(’20.9)」에 근거함
② 분야별 상세 : 스마트농업 분야

세부분야 관련 분야
②-1. 차세대 스마트팜 시스템 온실ㆍ노지ㆍ축산 스마트팜 시스템, 식물공장 시스템, 환경 센서 및 제어 시스템, 기타 스마트팜 기자재 개발ㆍ제조
②-2. 자동화ㆍ무인화 자율주행 트랙터, 수확 로봇, 농업용 드론, 위치기반 자동제어 솔루션
②-3. 빅데이터ㆍ인공지능ㆍ클라우드 작물ㆍ가축 생육모델 분석 서비스, 의사결정 지원 플랫폼, 농장경영 SW, 데이터 기반 온라인 판매지원 플랫폼 등

- ①그린바이오 ②스마트농업의 신청분야가 신청기업의 주목적사업임을 사업계획서 및 선정평가과정(발표 및 현장평가 時)에서 증빙하여야 함
* (주목적사업) 기업의 수입ㆍ지출예산서 상 전체사업비의 40/100이상을 주사업 목적으로 지출해야 함


ㅇ 선정규모 : 15개 기업 내외
- 그린바이오 5대 전략 분야 5개 기업 내외 및 스마트농업 분야 10개 기업 
* 개인ㆍ법인사업자의 주사업장(사업자등록증상)이 국내에 주소를 두어야 함


ㅇ 지원내용
① 혁신기술 및 제품의 사업모델 고도화 자금 지원
- 지원체계 : “기술고도화→제품사업화→공정개선 등 3단계”로 구분
* 지원체계 단계별 성과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추진
- 세부지원내용
ㆍ 기술고도화 지원 : 첨단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타 분야 기술(BT, ICT, AI, 빅데이터 등)과의 융합을 통해 기술 및 사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업의 성장을 위한 기술 및 시제품 제작비용 지원
* 지원내용 : 기술개발 관련(기능ㆍ안전 인증 및 분석, 지식재산권, 자문료 등),  시제품 개발 관련(포장디자인, 용기개발 등) 포함
* 증빙 : Prototype 수준의 시제품 제작으로 제품평가(기능, 안전등) 관련 자료
ㆍ 제품사업화 지원 : 지원분야 기술기반 제품의 고도화, 제품의 확장개발, 민간 투자유치, 판로ㆍ유통 경쟁력 확보 등 혁신제품의 사업화 비용 지원
* 지원내용 : 제품 고도화 및 확장개발(시제품, 관련 디자인 개선 등), 투자유치 관련, 제품 사업화 홍보 및 마케팅 등
* 증빙 : MVP(Minimum Viable Product) 수준의 시제품 제품평가(기능, 안전, 소비자 품평 등) 자료
ㆍ 공정개선 지원 : 주력 제품의 작업공정 개선, 생산성 향상(원가절감·품질개선 등) 방안, 기타 공정 기능개선 등 생산기반 혁신을 위한 공정 개발ㆍ개선 방안 도출 비용 지원
* 지원내용 : 스케일업, 공정개선을 위한 공정설계, 관련금형제작, 공정개선에 소요된 재료비(원자재, 연구재료 등), 공정개선에 검인증 비용 등 
* 증빙 : 공정개선 설계도, 금형결과물, 연구노트, 검인증서 등 개선 결과물 자료
* 지속관리대상 : 개선 후 개선사항에 따른 성과 증빙과 향후 지속적 관리
② 첨단기술 사업화 밸류업(Value-up) 프로그램 지원
- 교육 및 투자 : 첨단기술 분야 기술사업화, 유통, 투자 등의 교육지원으로 지원기업 임직원의 사업화 핵심역량 강화 
- 전문가 멘토링 : 지원분야별 기업의 멘토링 수요를 조사하고 분야별 자문위원단 구성으로 지원기업의 애로사항 자문 및 기술ㆍ제품 컨설팅 제공
- 성과보고회 : 수혜기업의 사업화 모델 등 외부 공개발표를 통해 판로ㆍ유통 및 투자유치의 기회 제공

반응형